안녕하세요. 리뷰의 온도 입니다.
결혼 후 신혼생활을 즐기다가 주변에 임신 준비 시작하고, 아기 낳고 하는 것들을 보니
마음이 조금 조급해져서 부랴부랴 임신 준비에 돌입 했습니다.

병원에가서 검사를 받았는데 검사비용도 만만치 않더라구요.
알아보니 검사 비용도 지원을 받을 수 있더라구요.
저는 몰라서 못 받았지만 이제 준비 시작하시는 분들은 꼭 받으세요.
아래 사진 누르시면 지원 신청 사이트로 바로 갈 수 있어요~!!
저희는 검사를 받아보니
저는 문제가 없었지만 남편의 정자 활동력이 조금 떨어진다고 하더라구요
그래도 자연임신이 불가능한 상태는 아니었지만
저희 부부는 둘다 나이가 있어서 빠르고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선택해 시험관 시술을 받기로 했어요
임신 확률이 인공수정 보다 시험관 시술이 높다고 합니다.
둘다 임신에 문제가 없어도 착상은 신의 영역이라고 인생선배님들이 말씀하셔서
시험관 시술로 결정했어요.

인공수정 임신확률 14%
시험관 시술 임신확률 35%

저희는 사실혼 부부라 그런지 아니면 다들 그런건지는 모르겠는데
최초 신청은 방문 신청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동작구 보건소에 방문했어요.
처음 가보는데 꽤 시설도 좋고, 건강에 관련된 시설과 프로그램이 많더라구요.
시간이 많으면 최대한 이용해보고 싶은데 직장인에게는 쉽지 않죠...
동작구보건소 8층 난임지원 상담실에 신청서 제출
준비해간 서류에 우리 부부의 동의서가 빠져 있다고 하셔서..다시 와야하나 난감 했는데
메일 주소로 빠진 서류 보내주면 승인 서류를 보내주시겠다고 친절하게 안내해주셨습니다.
그리고 1회 시술 후에 재신청 할 때는 온라인으로 신청 하면 된다고 합니다.

✅ 2025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주요 내용
1.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 혼인 상태: 법적 혼인 또는 신청일 기준 1년 이상 사실혼 관계 유지 부부
- 국적 및 건강보험: 부부 중 최소 한 명은 대한민국 국적 소유자이며, 부부 모두 건강보험 가입 및 보험료 고지 여부 확인 가능자
- 의료기관 요건: 정부지정 난임시술 의료기관에서 발급한 ‘난임진단서’ 제출자
2. 지원 범위 및 금액
- 체외수정(신선배아): 출산당 최대 20회, 회당 최대 110만 원 지원
- 체외수정(동결배아): 출산당 최대 20회, 회당 최대 50만 원 지원
- 인공수정: 출산당 최대 5회, 회당 최대 30만 원 지원
- 비급여 항목 지원:
- 배아동결비: 최대 30만 원
- 유산방지제 및 착상보조제: 각 최대 20만 원
- 약제비 지원: 시술과 직접 관련된 원외약 처방에 대해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약제비 지원
방문 신청의 장점은 당담 공무원의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횟수 지원이 많더라구요. 최대 25번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그중 20번은 나라에서 받는 지원이라 본인 부담금이 적은데 나머지 5번은 국민건강보험에서 지원을 해주는거라 본인부담금이 조금 크다고 설명 받았어요.
3.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정부24(https://www.gov.kr/) 또는 e보건소(https://www.e-health.go.kr/)를 통해 신청 가능
- 방문 신청: 여성의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제출 서류: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신청서
- 난임진단서
- 부부의 건강보험증 사본 또는 건강보험자격확인서
- 주민등록등본
- 사실혼 부부의 경우 추가 서류 필요
신청은 꼭 여자가 해야 한답니다.
저희는 법적으로 부부가 아닌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 부부라 내야하는 서류가 더 많습니다.



방문신청의 경우
서류준비 꼼꼼히 하시고 방문하시고
병원에서 시술 받기전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신청완료 후 3개월 이내에 첫번째 시술을 하면 됩니다.
저희는 5월 22일 신청이니 8월 21일 이내에 하면 되겠죠
다음 포스팅에서는 시험관 시술 후기로 돌아오겠습니다.^^
